728x90
설야멱 (雪夜覓)
설야멱 유래(由來)
설야멱(雪夜覓)은 고려시대에 불교의 영향으로 소의 도살법이나 조리법, 그리고 동물성 음식들이 사라지다가 몽골의 지배 아래 들어가면서 옛 조리법들이 복원되었습니다. 특히 몽골 사람들과 회교도가 많이 들어와 살던 개성에서는 고기 구이 요리인 설야멱이 다시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설야멱이라는 이름은 「송남잡식(松南雜識)」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송(宋) 태조가 설야(雪夜)에 보(普)를 찾아가니 숯불에 고기를 굽고 있더라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눈 오는 밤에 찾아갔다는 뜻으로 설야멱(覓; 구할 멱, 찾을 멱)이라 하였습니다.
설야멱은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쇠고기 등심살을 넓고 길게 썰어 칼로 자근자근 두드려서 꼬치에 꿰어 기름장에 주무르고 숯불에 구웁니다. 고기가 막 끓으면 냉수에 잠시 담가 다시 굽습니다. 이 과정을 세 번 반복한 후 기름장, 파, 생강 다진 것과 후추만 발라 구워야 연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복잡한 조리과정을 거치는 설야멱은 오늘날의 육식문화에서도 인기 있는 요리로 이어져왔습니다.
728x90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제공 제일 많이 사용하는 기본 이력서 양식 (0) | 2023.09.07 |
---|---|
엑셀 대각선 나누는 방법 (텍스트 입력) (0) | 2023.09.06 |
퇴직에 필요한 문서, 사직서 무료 양식 (Hwp, Pdf) (0) | 2023.09.05 |
오피스 엑셀 CMD 정품 인증 방법 안내 (크랙 X) (0) | 2023.09.05 |
냉장고에 보관하면 안 좋은 음식들 (0) | 2023.09.03 |
"오늘 부터 코로나, 독감과 동급" PCR 최대 8만원 유료 전환 (0) | 2023.09.01 |
대형 서점이 지하에 위치할 수밖에 없는 이유 (0) | 2023.09.01 |
냉장·냉동고(냉장고) 음식 보관 노하우 (0) | 2023.09.01 |